VPN

개념

  • Virtual Private Network

  •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, 가상으로 직접 연결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내주는 네트워크 기술

  • 논리적으로 직접 연결된 것 처럼 만들어주는 통로인 터널을 이용한다.

  • 인터넷같은 공중망을 전용선과 같은 사설망으로 사용하기 위해 도입하므로, 강력한 보안을 제공해야 한다.

인터넷이 아닌 전용 회선으로 연결되어 있더라도 VPN을 추가 구성하여 회선에 흐르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경우도 있다.

종류

  • 통신 사업자 VPN

    • 타 도시나 해외 등 먼 거리를 잇는 전용선 비용은 매우 비싸다. 그리고 가입자가 항상 계약된 대역폭을 100%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낭비되는 비용이 클 수 있다.

    • 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여러 가입자가 하나의 망에 접속해 통신하므로 공용 회선을 함께 이용하는 MPLS VPN 등의 방식을 사용한다.

    • MPLS VPN 기술 사용 시 가입자는 일반 전용선 연결과 동일한 접속 기술을 사용하면 된다.

  • 가입자 VPN

    • 일반 사용자가 일반 인터넷망을 이용해 가상 전용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.

동작 방식

  • 패킷을 터널링 프로토콜로 감싸 통신하는 터널링 기법을 사용한다.

  • VPN이라 부르는 프로토콜은 터널링에 보안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포함한다.

  • 패킷 암호화, 인증, 무결성 체크 기능을 이용해 인터넷에 패킷이 노출되어도 해커나 기관이 감청하지 못하도록 보호할 수 있다.

  •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형태로 구현된다.

    • Host to Host 통신 보호

      • 두 호스트 간에 직접 VPN 터널을 연동한다.

    • Network to Network 통신 보호

      • 특정 네트워크를 가진 두 종단을 연결하는 경우 사용된다.

    • Host to Network 통신 보호

      • 사이트를 우회하거나 특정 국가에서만 접근 가능한 사이트를 사용할 때 자주 사용된다.

      • 공중 네트워크에서 해커의 공격을 원천 방어할 수 있어 유용하다.

암호화 기법

IPSEC

  • 본사-지사와 같은 네트워크 대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된다.

SSLVPN

  • 개인 사용자-본사와 같은 개인 사용자 단말 대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된다.

  • 개인 PC나 모바일 단말과 같은 원격지는 별도 네트워크 장비 없이 VPN 연결을 사용할 수 있다.

Last update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