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SI 7계층

표준화된 통신용 규약으로, 네트워크 동작을 나누어 이해하고 개발하는데 필수적인 개념이다.

  • OSI 7계층을 한눈에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.

  • 각 레이어의 프로토콜은 하위 레이어의 프로토콜이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해 동작한다.

  • 데이터의 앞쪽에 붙는 것은 헤더이고, 뒤쪽에 붙는 것은 트레일러이다.

  • 1~4계층의 경우 데이터 플로 (하위) 계층, 5~7계층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(상위) 계층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.

  • 데이터 플로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잘 전달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,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잘 표현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.

인캡슐레이션 / 디캡슐레이션

인캡슐레이션 (캡슐화)

  •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가장 상위 계층(7계층)의 데이터부터 하위로 내려보내면서 데이터를 분할하기도 하고 헤더를 붙이기도 한다.

  • 여기서 붙이는 헤더는 받는 쪽에서 확인해야 할 정보이다.

  • 헤더는 현재 계층에서 정의하는 정보와 상위 프로토콜 지시자를 포함해야 한다. 상위 프로토콜 지시자를 포함해야 디캡슐레이션 시에 어떤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 보내야 할 지 알 수 있다.

    • 4계층 프로토콜의 경우 Sequence Number, ACK 정보포트 번호를 헤더에 담는다.

    • 3계층 프로토콜의 경우 출발지/도착지 IP 주소프로토콜 번호를 헤더에 담는다.

    • 2계층 프로토콜의 경우 출발지/도착지 MAC 주소이더타입을 헤더에 담는다.

디캡슐레이션 (역캡슐화)

  • 전기 신호를 받게 되면 이를 데이터 형태로 만들어 2계층으로 올려보내고, 2계층에서는 목적지가 자신이라면 2계층 헤더를 벗겨내고 남은 데이터만 3계층으로 올려보낸다.

  • 3계층에서도 마찬가지로 헤더를 확인하여 본인에게 요청이 온 게 맞는지 확인 후 맞다면 3계층 헤더를 벗겨내고 남은 데이터만 4계층으로 올려보낸다.

  • 최종적으로 목적지 애플리케이션은 순수한 메시지만 받게 된다.

출처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6l7xP7AnB64&t=382s

https://www.geeksforgeeks.org/layers-of-osi-model/

Last updated